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프로그래머스
- String
- docker
- 알고리즘
- DP
- 하둡
- 아파치 하둡
- Python
- 파이썬
- programmers
- heapq
- 카프카
- apache kafka
- 문자열
- 코딩테스트
- 아파치 카프카
- 우선순위큐
- 분산처리
- Apache Hadoop
- 이진탐색
- BFS
- 분산
- 도커
- 그래프
- Apache Spark
- 아파치 스파크
- leetcode
- 리트코드
Archives
- Today
- Total
래원
[미니 서버] Beelink EQ14 설치 본문
연구실을 나오고 본가로 내려오게 되면서, 연구실 서버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민폐인 것 같아 나만의 미니 서버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친구에게 비링크 미니 PC를 추천을 받아 바로 쿠팡에서 주문을 진행했다.
Beelink 비링크 EQ14 미니 PC 인텔 Twin Lake N150 25W전원내장 컴퓨터 MSC2.0열처리
일단 나의 생각은 여기에 VM 3대 정도를 띄워 미니 서버로 사용할 예정이다.
저장 용량이랑 RAM 용량을 모두 뺀 모델을 구입해서, SSD랑 RAM카드도 같이 구매해야 했다.
vm 3대 정도 쓰기로 했으니 1TB 저장용량을 가지는 SSD(삼성전자 PM9A1 M.2 NVMe (1TB))를 구입했다.
RAM은 16GB의 DDR4(삼성전자 노트북용 메모리 DDR4 16GB PC4-25600(3200))를 구입했다.
위 그림처럼 잘 도착해서 조립을 시작했다. 기본적으로는 그림의 오른쪽처럼 들어있다. (파워 선, 설치 USB, HDMI 선, 드라이버 등 포함)
SSD와 RAM을 장착 해야하기 때문에 드라이버를 이용해 아래 뚜껑(?)을 분해해 주었다.
드라이버는 박스에 같이 들어있어서 편하게 사용했다.
RAM과 SSD를 장착하고, 다시 뚜껑을 닫아 주었다.
다음으로 설치 USB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같이 온 설치 USB는 윈도우를 설치하기 때문이다.
나는 VM을 띄워 서버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roxmox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글에서 포스팅할 예정이다.
'서버 > 미니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 서버] Proxmox 설치 및 VM 생성 (1) | 2025.01.15 |
---|